728x90
SMALL

건축설계(시공사) 12

[건설사] 공동주택의 스마트 시스템 적용

공동주택의 스마트 시스템 적용 시스템별 적용 이미지 아이템 명칭 설 명 비고 우수처리시설 빗물을 재처리하여 단지내 생활용수로 활용하는 친환경시스템 : 단지내 조경용수, 주차장/쓰레기 집적소의 청소용수 고효율 환기시스템 (전열교환기) 실내공기의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도입되는 바깥공기에 공급함으로써 실내온도와 가까운 온도의 바깥공기가 도입됨에 따라 에너지 손실을 크게 절감 절수형 양변기 절수형 기기 인증 제품 자가 발전 수전 수압을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자가 발전기가 내장된 수전으로 기존 자동수전에 필요했던 전기나 배터리의 공급이 없이도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 가정용 연료전지 도시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폐열을 난방, 및 급탕에 활용 소형열병합 발전 도시가스를 이용하여 전..

[건설사]기밀성 및 패시브 하우스

기밀성 및 패시브 하우스 기밀성능이란? ‘건물과 외기사이에 유출입 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정도’를 말한다. 1. 패시브 하우스의 기밀조건 : 50pa ≤ 0.6회/h (독일 기준) 강한 압력이 외부에 걸릴 때 주택 내부로 들어오는 틈새바람의 양이 시간당 실내체적의 0.6회 정도만 들어와야 된다는 의미 50pa : 주택 내외부 공기의 압력차이를 의미하며, 풍속으로 따지면 약 8~9m/s 정도 2. 국내 기밀성능 규제 "창호의 기밀성"만 실험에 의한 등급으로 부여하고 있음 창호 이외에는 기밀성능을 제한하고 있지 않음 3. 기밀성 확보 시 장점 찜기의 최소화 냉난방 에너지의 절감 기계환기의 설치 시 성능의 극대화 소음전달의 억제 4. 기밀 Tape 적용 타운하우스, 그린홈 사업 등 단독주택 프로젝트 적용 국산화..

[건설사]단열재 종류 및 특성 & 단열재 발화시 변화

단열재 종류 및 특성 & 단열재 발화 시 변화 1. 단열재 종류 및 특성 구 분 기존 단열재 고성능 단열재(폼단열재) 초고단열 비드법2종 2호 (네오폴) 경질폴리우레탄보드 PIR 단열재 페놀 단열재 진공단열재 열전도율 (W/mk) 0.032 0.023 0.019 0.019 0.0045 장 점 -가격 저렴 -친환경 단열재 -보드형태 시공경험 多 -단열 성능 우수 -유해물질 방출 없음 -난연2급 (UL 94-HF1) - 난연 단열재 -초저단열 성능 -최소한의 외벽두께 단 점 - 두께 두꺼움 -화재시 유독 가스 발생 - 보드 휨 발생 - 단열 경시 변화 큼 -자소성 -국내 기술도입 초기 -고가 -국내 적용사례 없음 -진공파괴 시 성능 저하 -별도의 보호재 필요 비 고 - 외벽 및 측벽 적용 中 -최상층, 최하..

[건설사] 건설사의 업무 및 설계 Process

건설사의 업무 및 설계 Process 1. 건설사의 업무 건설산업기본법 [시행 2022. 8. 4.] [법률 제18823호, 2022. 2. 3., 일부개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4. “건설공사”란 토목공사, 건축공사, 산업설비공사, 조경공사, 환경시설공사, 그 밖에 명칭과 관계없이 시설물을 설치ㆍ유지ㆍ보수하는 공사(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부지조성공사를 포함한다) 및 기계설비나 그 밖의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공사 등을 말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사는 포함하지 아니한다. 가. 「전기공사업법」에 따른 전기공사 나. 「정보통신공사업법」에 따른 정보통신공사 다. 「소방시설공사업법」에 따른 소방시설공사 라. 「문화재 수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건설사] OO 표준 색채 시스템의 이해

OO 표준 색채 시스템의 이해 (Sample) 1. 색채업무 범위 및 Process “환경색채 통합이미지 구축” 1.1. 디자인 개발(R&D) 1. 색채표준 매뉴얼 개발, 개정관리 - 주동입면 / 주차장 색채 그래픽 - 단지안내 사인물 - 공용부 및 시설물 마감색채 - 포장패턴 등 2. 아이템별 신규 디자인 개발 디자인 어워드, 지식재산권 출원 - ‘06년 : 엘리베이터디자인 - ‘07년 : 파일럿 OO - ‘08년 : 픽스월 방음벽 - ‘11년 : 패미토그람 - ‘12년 : OO Visual Motif 3. Color trend 조사, 분석 4. 관련팀 전파교육 5. 색채설계사 Pool 관리 1.2. 디자인 적용(Proj. 관리) 1. Proj. 별 사업승인 및 건축심의용 색채 2. 분..

[건설사] 환경 색채 계획 방법의 이해

환경 색채 계획 방법의 이해 0. 학습을 하기 전에 0.1. 색채는 "에너지"다. 모든 형태, 물체는 색으로 지각된다. 색채, 소재의 리사이클링 기능성은 곧바로 에너지 호율성을 의미한다. 생리적 에너지 소모율 최적화가 곧 이미지, 제품의 기능이 된다. 0.2. 색채는 "정보"로 기능한다. 색채는 어떠한 다른 요소보다 가장 빨리, 가장 오래, 가장 강하게 기억된다. 색채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 식별성, 가독성 색채의 상징 기능 0.3. 색채는 "저 투입 고효율 고부가 가치 창출"이 가능한 자원이다. Color Marketing 1. 색채 입문 1.1. 빛과 색 색을 지각하기 위해서는 빛(광원), 빛을 반사 및 투과할 수 있는 물체, 그것을 인식할 수 있는 관찰자(눈)가 필요하다. 이것이 색지각의 3요소이다..

[건설사] 시공하중 잭서포트 및 자재하중

시공 하중 잭 서포트 및 자재 하중 1. 잭 서포트 1.1. 주요 공사 차량 하중 레미콘 6M3 (총중량 26.3TON) 덤프트럭 15TON (총중량 26.5TON) 펌프카 36M (총중량 25.2TON) 1.2. 잭 서포트 설치 목적 JACK SUPPORT 미설치시 구조 안전성 저하 JACK SUPPORT 설치 통한 구조안전성 확보 1.3. 잭서포트 배치 중간에 보가 있는 경우 Jack Support 허용하중 : 30 ton P 139.8×4.5 중간에 보가 업는 경우 동바리 간격 : 1m 유지 펌프카, 하이드로 크레인의 아웃리거 하부 공사용차량아웃리거가놓이는부재하부에는아래와같이Jack Support를설치 2. 자재 하중 2.1. 시공단계별 자재 거푸집 벽돌 석고보드 2.2. 설계하중과 비교 슬래브 타..

[건설사] 가설구조 가설재의 개념과 설치 지침

가설재의 개념과 설치 지침 1. 가설재의 개념 1.1. 가설재의 개요 가설재는 건축물 본 공사를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건설자재이며, 안전성, 작업성, 경제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1.2. 가설재 특징 연결재가 비교적 적음 부재결합이 간단하고, 불안전한 결합 조립의 정밀도가 본 건물의 골조에 비해서 상당히 낮음 부재의 단면의 일관성이 결여될 수 있으며, 재사용에 따른 결함이 내재될 수 있음 구조계산이 부분적으로 되었거나 아예 계산이 되지 않은 경우도 있음. 1.3. 가설재 주요 분류 동바리 시스템 서포트 비계 1.4. 동바리와 시스템 서포트 역할 : 타설 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얻을 때까지 거푸집 및 장선·멍에를 적정한 위치에 유지시키고, 상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부재 파이프 서포트(..

[건설사]철골구조 일반사항 철골의 재질 및 종류, 용접 및 볼팅

철골의 재질 및 종류, 용접 및 볼팅 1. 철골 재질 종류 1.1. 구조용 강재 번호 명칭 등급별 종류 KS D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400 KS D3515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SM400 A, B, C / SM490 A, B, C, TMC SM520 B, C, TMC / SM570, TMC KS D3529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압연강재 SMA400AW, BW, CW / SMA400AP, BP, CP SMA490AW, BW, CW / SMA490AP, BP, CP KS D3861 건축구조용 압연강재 SN400A, B, C / SN490B, C KS D3866 건축구조용 열간압연 H형강 SHN490 KS D4108 용접구조용 원심력 주강관 SCW490-CF 1.2. 볼트, 고력볼트 번호 명칭 등급별..

[건설사]철근콘크리트 구조 철근의 정착

철근콘크리트 구조 철근의 정착 1. 철근 정착의 개념 콘크리트에 묻혀있는 철근이 힘을 받을 때 미끄러짐 변형 없이 제 강도를 발휘하기 위해 콘크리트 내에 철근이 충분히 삽입되어야 함 철근의 부착력 개념 철근 정착의 종류 인장 철근의 정착 압축 철근의 정착 표준 갈고리를 갖는 인장철근의 정착 2. 철근 정착 길이 산정 정착 길이 산정 정착 길이 산정(예) ▶ 주요 요소 - 철근 및 콘크리트의 강도 - 철근 배근의 위치(α) - 철근의 에폭시 도막 여부(β) - 경량콘크리트 사용 여부(λ) - 철근 간격 및 피복두께 (C) ▶ 인장철근의 정착 길이(Ld) ▶ 다른 부재에 비해 비교적 철근 간격이 넓은 슬래브나 벽체, 기초의 경우에 상세식을 적용하여 정착길이를 저감할 수 있음 ※ 인장 철근 : 휨이나 인장을 ..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