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사

건설사 Curtain Wall의 종류 및 시공

퍼플망이 2022. 12. 9. 07:58
728x90
SMALL

썸 네일

Curtain Wall의 종류 및 시공

 

1. Curtain Wall 이란

  • 건물의 하중을 부담하지 않는 벽 (No-Load Bearing Wall) – 비내력 벽으로 악벽 또는 달아매는 벽
  • 건축 기준법상의 용어 – 장(막) 벽 à 비 내력 칸막이벽
  • 초창기 Curtain Wall – 연와 블록, 벽돌로 벽을 구성한 후 창호 끼우기 형식
  • 현대 Curtain Wall의 개념 – 벽의 구성 부재를 공장에서 제조, Panel화 하여 공장 생산하고 Pre-FAB. 화 된 외벽재  로서의 개념으로 사용
  • 현대 Curtain Wall의 주요 자재 – 알루미늄, 유리, Steel, Stainless Steel, Stone, 기타 Panel 형태의 재료
  • 근래에는 Curtain Wall의 구조성능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써 커튼월의 파손은 곧 외벽의 파손이라는 개념으로 접  근 해야 함

2. Curatin Wall의 특징

  • 경량화 - 건물의 자체 무게를 경감. 건물의 기초와 구조에 소요되는 비용 절감

  • 공기단축 - 제품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장에서 제작 (Pre-FAB.) 하여 반입

   - 골조공사와 병행하여 생산 시공 가능.

   - Unit System 적용 시 적층 공법에 의한 공기 단축 가속화.

  • 가설공사의 간소화 - 건물의 내부에서 작업이 가능. 비계 및 발판이 필요치 않아 가설공사비를 최소화.

  • 고성능 - 태풍, 지진, 직사광선, 소음, 단열, 차음 등 실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외력의 흐름 조절

  • 미관의 향상 - 각종 자재 (유리 및 금속재 패널)를 사용하여 원하는 색상의 원하는 입면 표현이 자유로움

 

3. Curtain wall 명칭

  • Mullion : Curtain Wall의 수직부재 이며 주 구조재. 통상 aluminum extrusion 자재로써 unit panel 의 전체 높이와  같으며, bracket 등 anchorage system 에 의해 건물 구조체에 구조적으로 긴결 된다.
  • Transom : Curtain Wall 의 수평부재 이며 부 구조재. 통상 aluminum extrusion 자재로써 건축 외장 설계에 따라 module화 된 유리, panel 등 외장재의 수평joint 부위에 위치하며 mullion에 구조적으로 연결 된다.
  • Vision : 전망할 수 있도록 투명 유리를 끼운 부분, 일반적으로 천정 하부로부터 Fan Coil Unit Box 상부까지.
  • Spandrel : 다층 건물에서 Window Head 상부로부터 다음 층 Window Sill 까지의 사이를 채우는 벽 Panel 부분
  • Vision Head : 유리를 끼운 창의 상부 구조재, Curtain Wall 에서는 천정 부분의 수평부재
  • Vision Sill : 유리를 끼운 창의 하부 구조재 Curtain Wall 에서는 창대 또는 Fan Coil Unit Box 부분 수평부재
  • Coping : 파라펫, 기둥, 벽 등의 Cover. Curtain Wall 에서는 최상단 마구리 덮개를 말함.
  • Soffit : 아치, 발코니 등의 하측 노출면, Curtain Wall 에서는 최하단 마구리 덮개를 말함
  • Anchor Clip : Mullion 과 Slab 사이를 연결 하는 구조 용 Angle, Channel, Plate Primary Anchor Clip, Secondary  Anchor Clip
  • Fastener : 부재의 긴결 시 사용하는 Bolt, Nut, Washer, Screw 등을 말함.
  • Embedment : Anchor Clip을 콘크리트 구체에 긴결키 위하여 Slab에 매설하는 구조재, 상용 제품이며 일반적으로 Steel Angle, Plate, Channel Deformed Bar를 용접하여 매설함
  • Kicker : Curtain Wall 에서 수직 구조재를 지지 또는 보강하기 위하여 구체로부터 연결한 짧은 구조재 Anchor,  Backer, Wind Bracer 와 동의어.
  • vIsolator : 격리재
 

4. Curtain wall 상세도

Curtain wall 상세도

 

5. Curtain wall의 System

  5.1. Stick System : 벽의 구성 부재인 Mullion, Transom, Panel 그리고 Glazing 작업  등이 공사 장에서 조립 진행되므로 현장 여건에 대한 유연성과 운송 측면에서  점이 있는 반면에 현장 작업량 및 품질관리 측면에서는 다른 System에 비해 다소  불리하다.

Stick  System

 

  5.2. Unit System : Curtain Wall 의 구성 부재를 공장에서 완전히 조립하고  Unit 화하여 현장에 반입/ 설치하는 System으로 모든 조립이 공장에서 이루  어지므로 Curtain Wall의 품질 상승을 도모할 있으며 고층 건물에 적합한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특히 건물의 이동하중에 의한 층간 수직변이 대응능력이Stick System에 비해 뛰어난 장점이 있으며 최근 국내 또는 해외 고층  건물에서는 대부분 공법을 사용한다.

Unit System

 

6. Curtain wall System 비교

Stick System Unit System
설계가 비교적 용이한 편이고 일반적인 공사에  공사에 적용된다. 설계가 어려우며 국내에 아직 전문가가 많지  않고 대형공사에서 주로 채택한다.
가공을 제외한 조립, 설치가 현장에서 이루어지   Quality Control 비교적 어렵고 품질이 떨어  지기 쉽다. 가공 조립이 공장에서 이루어지며 현장에서는  설치만 한다. 따라서 공장의 깨끗한 곳에서  련된 작업자에 의해 조립되므로 품질이 우수  해지고 Quality Control 손쉽다.
 
(수밀, 기밀,  
단열 )
조립 설치가 현장 기능공의 현장 작업에 의존하  므로 설계 의도대로 조립, 시공되기가 어려우며  이에 따라 성능을 발휘하기가 어렵다. 공장에서 조립되는 관계로 품질이 우수하므로  수밀, 기밀, 단열 성능 등이 당연히 우수해진다.
공장에서 가공하여 Bar 상태로 운반하므로  반이 용이하고 저렴하다. 공장에서 완전히 조립되어 운반되므로 운반  Volume 커지고 주의가 요구되며 운반비용  비교적 많이 든다.


시공성 
모든 구성 부재가 현장에서 조립 되므로 시공이  번거로우며 공사 기간은 Man Power의해 조  절될 있으나 동일 Man Power 경우 공기가  길어진다. 모든 구성부재가 공장에서 조립되므로 현장의  구체공정과 관계없이 공장에서 사전 작업이  될 수 있어 공기의 단축에 유리하며 시공성은  유리의 현장 취부에 따라 달라질 있다.
경제성 구성 부재의 형태, Size 따라 좌우 된다. 주요 구조재인 Mullion , 2개로 분리되  있어 구조적으로 경제적인 면이 있다.
728x90
LIST